설치및설정
vscode remote ssh 개발 설정
봄다온
2025. 5. 5. 18:50
systemctl daemon-reload
systemctl restart ssh.socket
윈도우 ㅡㅡ> 윈도우로 원격개발할땐, rdp로 편하게 개발했었는데 최근 윈도우 ㅡㅡ> 우분투로 xrdp를 사용하여 똑같은 환경으로 구축하였는데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서 도저히 사용못할 수준이어서 vscode의 remote ssh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전체적인 설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 pc 설정
1.클라이언트 pc의 vscode에 remote ssh extension 설치
2.클라이언트 pc에 ssh키 생성
서버 pc 설정
1.OpenSSH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2.서비스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ssh
# 출력예시
● ssh.service - OpenBSD Secure Shell server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ssh.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enabled)
Active: active (running)
3.SSH서버 설정
sudo vi /etc/ssh/sshd_config
기본포트 변경 ㅡㅡ> Port xx
공개키 로그인만 허용 ㅡㅡ> PasswordAuthentication no
루트 로그인 비활성화 ㅡㅡ> PermitRootLogin no
등등 개인취향대로 설정
이후 소켓을 재시작해줘야한다 이는 문서 20~21번째줄에 적혀있다
4.방화벽 설정(UFW 사용시)
sudo ufw allow ssh
# 또는 포트를 바꿨다면
sudo ufw allow 2222/tcp
5.공유기 사용중이라면 포트포워딩 설정
외부ip에서 서버로 접속할때 들어오는 포트와 내부포트를 연결시켜줘야한다.
6.서버pc에 클라이언트pc의 공개키 저장
클라이언트 pc의 공개키를 복사후 서버pc에서 아래코드 실행
# 서버에 클라이언트의 공개키 저장
mkdir -p ~/.ssh # ssh디렉터리 없다면 생성
vi ~/.ssh/authorized_keys # 문서 생성
authorized_keys 문서에 클라이언트 pc의 공개키 저장
# 권한 설정
chmod 700 ~/.ssh
chmod 600 ~/.ssh/authorized_keys
이후 클라이언트에서 remote ssh로 서버에 접속해보면 암호입력 없이 접속가능